2025.11.22 (토)

  • 맑음동두천 0.4℃
  • 맑음강릉 10.3℃
  • 구름조금서울 5.5℃
  • 맑음대전 2.2℃
  • 맑음대구 2.4℃
  • 맑음울산 6.3℃
  • 맑음광주 2.8℃
  • 맑음부산 8.7℃
  • 맑음고창 0.5℃
  • 구름많음제주 10.6℃
  • 구름많음강화 3.7℃
  • 흐림보은 2.0℃
  • 맑음금산 -1.0℃
  • 맑음강진군 1.3℃
  • 맑음경주시 1.2℃
  • 맑음거제 5.5℃
기상청 제공

K-아트

전체기사 보기

[담화총사 칼럼] 강현옥 작가 K-민화〈책거리〉, 지혜와 길상의 미학

- 강현옥 민화의 특징...전통을 깊이 이해한 현대적 감각 - 봉황과 대나무, 길상과 고결의 조화의 책거리

K-컬처 이길주 기자 | 전통 민화의 도상 가운데 ‘책거리冊巨里’는 가장 지적이고 상징적이며, 조선 사람들의 학문관·미적 취향·삶의 이상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장르다. 강현옥 작가의〈책거리〉는 이러한 전통적 주제를 현대적 색채 감각과 섬세한 선묘로 재해석한 작품으로, 지혜의 풍요와 길상의 기운이 화면 가득 흐른다. 책거리는 조선 후기 선비들이 사랑했던 학문·덕성·가치관의 상징이 담긴 그림이다. 책과 문방사우, 그리고 길상 문양이 조화롭게 배치되며 ‘학업의 성취’와 ‘삶의 풍요’를 기원한다. 강현옥 작가는 이 전통적 구도 위에밝고 투명한 채색, 고급스러운 농담 조절, 민화 특유의 데포르메(변형) 표현을 더해 책거리를 생동하는 현대적 장면으로 되살린다. 이 작품에서 가장 강렬한 시각적 중심은 두 마리의 봉황이다. 봉황은 민화에서 왕권, 화평, 고귀함을 상징하는 존재이며, 책거리 속에 등장할 때에는 학문적 성취와 탁월함을 빛내는 존재로 해석된다. 봉황의 화려한 깃털은 성공의 비상飛上을, 부드러운 색의 변화는 여유와 평안을, 대나무와의 조화는 절개와 고결의 상징 을 품고 있다. 대나무는 사군자 중 하나로 흔들리지 않는 절개를 의미하는데, 책거리의 문맥에서는 ‘학문을



[담화총사 칼럼] 고요한 풍경, 길상吉祥의 노래 홍태현 작가의 화조도

- 깊은 정서의 색, ‘한국적 청靑’의 절제된 미학 - 두 마리 새가 이야기하는 것, 조화와 인연

K-컬처 김학영 기자 | 전통 민화의 세계에서 ‘화조도花鳥圖’는 가장 따뜻하고 서정적인 장르다. 꽃과 새가 한 화면에 자리하며 풍요·화합·사랑·평안을 상징하는 그림. 홍태현 작가의〈화조도〉는 이 전통적 도상을 현대 민화의 색감과 기교로 재해석하며, 고요한 정원의 한 장면을 따뜻하게 펼쳐낸다.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새의 머리를 장식하는 진한 청색靑이다. 이 색은 조선 후기 민화가 즐겨 사용한 상징적 색채로, 맑음·순수·고결함을 의미한다. 작가는 이 고유의 ‘한국적 파랑’을 새의 머리에 집중적으로 배치해 그 존재를 단순한 자연의 새가 아닌 길의 기운을 머금은 신성한 존재로 끌어올린다. 그 아래 은은한 회색의 깃털들은 생생한 사실성과 함께 전통 채색화의 정교함을 보여준다. 작품 속 두 마리의 새는 서로를 향하지도, 등을 돌리지도 않는다. 가까운 거리에서 조용히 ‘머문다’. 이 관계성은 화조도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풍요로운 가정, 조화로운 부부, 혹은 인연의 따뜻함을 상징한다. 홍태현 작가는 새의 표정과 시선을 과장하지 않은 채 절제된 감정으로 그려 ‘편안함’의 정서를 극대화한다. 이는 전통 민화의 소박함과 현대적 감각의 조화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