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컬처 이존영 기자 | 정부와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무비자 입국을 확대하고, 나아가 세금으로 지원금까지 내걸며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관광산업의 회복이라는 명분을 내세우지만, 그 이면은 지역 재정을 담보로 한 무모한 도박에 지나지 않는다. 중국은 오랫동안 한국 관광시장의 핵심이었고, 무비자 확대는 단기적으로 항공·숙박·요식업에 일정한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 그러나 관광객 숫자의 증가는 곧바로 지역경제 체질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이미 제주도는 뼈아픈 교훈을 남겼다. 관광객이 늘었지만 그 결과는 불법 체류자 급증, 각종 사건·사고, 지역사회 갈등이었다. 단기 성과 뒤에 따라오는 부작용은 결코 가볍지 않다. 한국 관광산업의 구조적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일부 지역은 여전히 바가지요금이 만연하고, 볼거리와 체험거리는 빈약하다. 관광객은 돈을 쓰지만 만족하지 못하고, 기억에 남을 추억거리도 얻지 못한다. 이런 상황에서 세금으로 관광객을 불러오는 것은 결국 “돈 주고 망하는 정책”이다. 잠시 발길을 모아도 재방문율은 떨어지고, 한국 관광은 싼값에 소비되는 단체관광지로 전락할 뿐이다. 일부 지자체가 내건 관광객 1인당
K-컬처 장규호 기자 | 예술은 배우고, 전하고, 함께 나누는 과정이다. 그 여정 속에서 우리는 자연스레 ‘가르치는 이’와 ‘배우는 이’의 관계를 맺는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그 관계를 설명하는 단어 하나가 낯설고 무겁게 다가오기 시작했다. 바로 “제자弟子”라는 호칭이다. 본래는 스승의 가르침을 받는 이에게만 허락되던 깊은 언어였지만, 오늘날의 미술 교육 현장과 시장에서는 그 의미와 무게를 벗어난 채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자격과 합의 없이 제자라 불리고, 때로는 상업적 수단이나 권위 과시의 도구로 소비되기도 한다. 이제 우리는 묻지 않을 수 없다. 그 이름을 부를 자격은 누구에게 있으며, 그 이름을 지킬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예술의 길 위에서 서로의 품격을 해치지 않기 위해, 지금이야말로 ‘제자’라는 말의 무게를 다시 저울질할 때다. 전통 속 “제자”의 의미, 그리고 오늘의 오해 ‘제자’는 동양의 오랜 전통에서 단순히 배우는 사람을 넘어, 스승의 사상과 정신, 삶의 태도까지 전수받은 정신적 계승자를 뜻했다. 공자의 문도들, 불교에서 법맥을 이은 승려들, 도제식 수련을 거친 예술가들이 그러했다. 그러나 오늘날의 예술 교육은 그 형태와 맥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