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컬처 전득준 기자 |예술을 통해 바람에 흔들릴수록 더 깊이 뿌리내리는 나무와같이 작가들이 시대에 휘지않는 내면의 닻을 미학적인 언어로 표현하고, 관습을 벗어나 주체적인 시선의 회복을 모색하는 이시호, 이혜진, 이채민, 박수림 작가의 “ 휘지 않는 나무” 전시가 6월 29일까지 더갤러리(안산시 상록구 용신로 151) 기획전이 이시호작가의 전시기획으로 열리고 있다. 이시호작가는 평소 눈여겨보지 않던 안전 고깔이나 버려진 벽돌 같은 사물을 중심에 세우고, 사소한 존재에도 고유한 가치가 있음을 깨닫게 한다. 이는 사회의 기준에 미치지 못했다 여겨진 어느 순간조차, 스스로의 존재를 인정하고 주체적으로 설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혜진 작가는 통계적 수치로 현실을 대변해온 경제지표를 해체하여, 실리에서 벗어난 시각적 유희의 세계를 선사한다. 경제지표가 자본주의 시스템을 유지하는 상징적 기호라면, 그는 이를 목적 없는 조형 요소로 활용해 작품을 완성한다. 이채민 작가는 커다란 흐름 안에서 일어나는 감정의 요동과 내면의 균열을 주목한다. 감정의 혼란 속에 미끄러 지지 않고, 불확실한 감각들을 끊임없이 더듬어 붓을 움직이는 행위는 스스로의 내면을 개척하고 다스리며 주체성을
K-컬처 전득준 기자 | 경제지표를 조형 요소로 활용하여 추상적인 이미지를 구현하는 이혜진 작가의 <선반들(Shelves)> 전시가 더갤러리에서 “휘지 않는 나무” 기획 전시로 6월 29일까지 열린다. 작가는 ‘선반(shelf)’이라는 구조 안에 경제지표를 일시적으로 거치함으로써, 지표를 기능적 맥락에서 분리시키고 해석을 유보하는(shelve) 공간을 제시한다. 작가는 경제활동을 가계, 기업, 정부 등의 경제주체가 행하는 개별적 선택과 그로 인한 상호작용적 관계로 이해하며, 이러한 구조가 본질적으로 비가시적이며 추상적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이 관점에서 경제지표는 추상적인 경제활동이 통계 수치로 환원된 후, 디지털 데이터라는 매체를 통해 가시화된 이미지로 나타나는 것이다. 작가는 이러한 경제지표 이미지에 추상적 시각 효과를 더하고 다양한 매체로 구현함으로써, 경제지표를 시각예술로 전환하는 것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은 예술과 경제의 상호작용적 관계를 탐색하는 동시에, 경제주체가 겪는 주체성 상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낸다. 불확실하고 가변적인 경제 현실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동시대적 이슈들을 경제지표로 환기하고, 이를 예술의 언어로 전환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