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컬처 장규호 기자 | 봄빛이 가장 고운 순간, 공작이 그 화려한 깃을 펼친다. 박현정 작가의 〈공작도〉는 민화의 길상적 상징성과 동양 회화적 품격을 절묘하게 결합한 대작으로, 자연이 품은 찬란한 생명력과 인간이 바라는 모든 길상吉祥의 기운을 화면 가득 담아낸 작품이다.
공작은 예로부터 군왕君王의 새, 부귀와 영화, 품위와 화려함을 상징하는 존재다. 박현정 작가는 공작의 상징을 단순히 장식적으로 차용하지 않고, 깃털 하나하나를 정교하게 묘사함으로써 생명의 장엄함 자체를 회화적으로 담아냈다.
공작의 꼬리깃은 색채의 향연이다. 초록, 홍색, 청색, 황금빛이 질서와 리듬을 이루며 폭발하듯 퍼져나간다. 특히 깃털의 눈(eye) 문양을 섬세한 선묘로 표현한 기량은 민화 기법과 전통 채색화의 절정이 아름답게 결합된 부분이다. 이 화려함은 단순한 ‘색감의 부유함’이 아니라, 삶을 향한 축복과 기원의 메시지가 시각화된 형태이다.
작품 속엔 두 마리의 공작이 자리한다. 상단의 수컷 공작은 화려한 깃을 드러내며 생의 절정을 보여주고, 하단의 암컷 공작은 절제된 색으로 고요한 균형을 잡는다.
이 그림의 대비적 구성은 음양의 조화, 부부의 화합, 가정의 평안, 생명의 순환 이라는 길상적 의미를 관람자에게 자연스럽게 전달한다. 공작이 딛고 있는 바위와 주변의 꽃들도 이 조화를 더욱 깊고 단단하게 지탱한다.
화면을 가득 채운 벚꽃은 이 작품의 정서를 완성하는 중요한 요소다. 도드라진 분홍의 꽃잎들은 화려한 공작의 깃과 어우러져 봄의 절정을 표현한다. 벚꽃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덧없음과 아름다움, 새로움과 시작, 가장 찬란한 순간의 순수함 을 상징하는데, 박현정 작가는 그 상징을 극도로 섬세한 농담과 세필로 담아냈다. 꽃잎 하나하나가 공작의 깃과 연결되어 생명 그 자체가 피어나고 스러지는 흐름을 시적으로 드러낸다.
박현정 작가의 작품은 전통 민화의 기법을 기반으로 하지만, 전체적인 구성, 색감의 정교함, 화면의 밀도는
현대 회화적 감각을 응축시킨 결과물이다.
선묘는 섬세하고 치밀하며, 색감은 깊고 투명하며, 구성은 대담하면서도 안정감이 있다. 특히 공작의 깃털 표현에서 드러나는 세밀화적 기량은 전통 기법을 현대적 기술로 재창조해낸 박현정만의 강점이다.
이 작품이 아름다운 이유는 화려해서가 아니다. 찬란함 속에 있는 평안, 화려함 속에 숨은 고요, 생의 절정이 주는 깊은 울림 때문입니다.
박현정 작가의 〈공작도〉는 단순한 관상용 민화를 넘어서 보는 이의 마음에서 “아름다움의 근원은 생명 자체이다”라는 깨달음을 끌어올린다. 화려함이 소란스럽지 않고, 고요함이 단조롭지 않은 그림. 이 대작은 K-민화가 지닌 품격과 정수, 그리고 오늘의 예술이 지향해야 할 따뜻함을 함께 보여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