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컬처 전득준 기자 | 프랑스에서 24년, 파리와 그 근교에서 그린 그림들로 자연속의 생명을 생성하는 에너지를 표현해 내는 재불화가 정대수 개인전 <파리와 근교에서> 전시가 갤러리 클립 (대표 정성갑. 서울 종로구 삼청로 140-1 2층 메타포서울)에서 10월 29일 까지 열리고 있다. 작가는 “이번 개인전 '파리와 근교에서' 나는 대상의 형태를 그리려고 하지 않고, 어느 특정 공간을 재현하려는 행위속에서 반응할 수 있는 대상을 뭉치고 불려서 다시 분해하는 과정속에서 색점의 덩어리로 만들고 그것을 자연의 핵으로 삼으며, 그 핵은 마치 세포같이 불어나서 형상을 이루고 또 해체되어 다시 본질로 돌아간다며, 그 생명의 흐름을 시각화한다.“ 고 했다.작가의 그림은 거칠고 명백하지 않은 붓질 속에서 흐름을 찾고 질서를 찾고 균형을 찾아내며 또 파괴하는 과정을 거쳐 에너지의 흐름을 극대화 하고 있다. 자연 속의 생명을 생성하는 에너지이며 작가는 에너지의 정원을 소요하는 산책가로, 거칠고 명백하지 않은 붓질 속에서 흐름을 찾고, 또 파괴하는 과정을 거쳐 자연 속의 생명을 생성하는 에너지의 정원을 소요하는 '산책가'임을 보여준다. 프랑스에서 24년, 파리와 그
K-컬처 전득준 기자 | 강렬한 이미지와 색채로 작품을 끌고 있으며 작가가 해석한 의미에 따라 내면에 느껴지는 심상과 감성을 화면에 담아내는 하헌길 작가의 Energy of the Cycle 개인전이 아트가가갤러리 (서울 인사동 4길 1)에서 10월 29일 까지 열리고 있다. 작가의 작업은 자연에서 얻는 소중한 정서들을 기억하며 감각적인 느낌으로 재해석하여 보이는 것들에 형태 없이 영혼과 마음의 내적 작용에서 발화하여 폭발하는 내면의 힘에 대한 이야기이다. 형태의 모호함과 단색과 유사 색의 편안한 정서의 표현은 색의 중첩과 혼합으로 우연과 필연 속에 생성과 소멸 어둠과 상실을 반복한다. 양가적인 안과밖. 현실과 가상, 존재력이 있으며 무존재인 소멸과 생성을 나타내는데 생성은 창조며 탄생이고. 소멸은 초월이며 또한 부활이라 생각한다. 인간의 욕망이 생성되고 소멸되는 순환과정을 표출하기 위한 에너지를 자연에서 얻었다. 계절이 지나가고 다시 돌아오는 Cycle의 에너지와 인간의 삶과 죽음 없어짐과 있음이 계속 되어지는 순환의 에너지를 나이프로 표현하여 존재의 가치를 계속 탐미한다. 시간이 흘러가면서 그 모든 것을 끌어안게 되고 초월의 의미로 긍정의 메시지를 나타내
K-컬처 전득준 기자 | 반복되는 붓 터치로 화면 위에 중첩되어 쌓이는 사유의 흔적들이 아름다운 것들을 풍경화로 펼쳐 내보이는 이경아 개인전 “삶의 무늬 – 빛으로 피어나다.” 전시가 갤러리 이즈 (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52-1 3F)에서 10월 29일 까지 열리고 있다. 우리는 자연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고 싶어 하면서도 끊임없이 자연을 바라보고 있는데 이것은 아도르노가 말한 것처럼 자연이 인간의 이성으로 규정할 수 없는 불특정한 것으로 존재하면서 끊임없이 우리의 인식적 지평을 넓혀주기 때문이다. 이성의 합리성을 넘어서는 자연은 숭고함으로 다가오고 그런 자연을 바라보고 이해하려는 관점에서 작가의 작업은 출발한다. 매 순간 가장 적절한 것을 찾아내고 목적이 없기에 매 순간 순간에 집중할 수 있다는 작가는 매 순간 부딪히는 한계를 해결해 가는 과정이고 그 과정 속에 깃들어 있는 찰나적 사유의 축적으로 승화되어 화면을 안온하게 담아내고 있다. 청아한 숨, 풍요의 순간, 사랑스러운 무늬 나무, 빛의 하모니의 작품 멍제처럼 작품은 수양의 방편이라 할 수 있는데 반복되는 붓 터치로 화면 위에 중첩되어 쌓여가는 사유의 흔적들이 아름다움과 작가의 미의 사유함이 담겨져
K-컬처 이존영 기자 | 영문 외교저널 10월호 책자 JPG전체보기
K-컬처 김학영 기자 | 지난 16일 뉴욕에서 열린 뮤지컬 ‘블루블라인드’가 오디션에 400명 이상이 참가하는 등 큰 성공을 거두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제작자 박해미(블루블라인드 대표)는 한국에서 인정받은 배우로, 뉴욕 브로드웨이 뮤지컬 프로듀서로서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뮤지컬은 소담 아트 프로덕션의 김규린 프로듀서가 이끌고 있으며, 한국 전통 문화와 현대적 감각을 융합한 작품으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블루블라인드’는 동양과 서양의 배우들이 함께하는 국제적인 팀으로 구성돼 있으며, 한국의 전통 판소리와 정통 브로드웨이 뮤지컬의 요소를 결합해 새로운 예술적 시도를 펼친다. ‘블루블라인드’의 유니크한 협업은 전 세계적인 관객들에게 문화적 다양성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전통과 현대의 아름다운 조화를 브로드웨이 무대에서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공연은 오는 11월 12일과 13일 초연을 시작으로 내년 5월 한 달간 특별 공연을 계획하고 있다. 박해미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뉴욕 브로드웨이에서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경험과 통찰을 통해 뮤지컬의 성공에 크게 기여한다는 목표다. 블루블라인드 소개 블루블라인드는 뮤지컬 배우 박해미
By Kayla Lee | Ilwolobongdo (日月五峯圖) is a traditional painting from the Joseon Dynasty and an important work of art that symbolizes the authority of the king. It is widely known as a folding screen placed behind the throne in palaces, and is characterized by a scene depicting the sun, moon, five mountain peaks, and the turbulent waves below. It symbolizes the long life of the king and queen and a prayer for the country's prosperity. Natural elements and symbols The sun and moon symbolize the king and queen in Ilwolobongdo, and they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representing the harmony of yin
K-컬처 이존영 기자 | 카자흐스탄 특집 판 JPG 전체보기
K-컬처 전득준 기자 | 오브제의 입체적 촉감들의 평면으로 이미지를 만들고 이미지를 읽는 양면성의 운동감. 운동이 만드는 변화 생성을 화면을 채우고 있는 조연승개인전 Composition 전시가 갤러리이츠(서울 인사동길 52-1)에서 10월 22일 까지 열리고 있다. 작은 오브제를 화면 가득 중첩하여 작업하는 조연승 작가의 작품는 작은 오브제들이 사각에서 원으로, 입체가 평면으로, 색상들의 병치가 단일한 인상의 색상으로 중첩 순환되고 이동하면서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는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작품 표면을 아우르는 오브제들은 반복되고 밀착되는 과정에서 높낮이의 차이를 형성하고 입체와 평면이라는 시각적인 차이를 구조화하고 있어서 적당한 거리를 두고 보면 평면성의 추상과의 어우러짐으로 물질로서 사유를 추동하고 감각을 통해세계를 만나는 힘을 보여주며 힘의 생성을 느끼게 한다"고 호평을 받고 있다. 지키면서 화면을 보아 나가는 산책자의 시선으로 다가갈 때와 근거리에서 밀착해서 바라볼 때 완연하게 다른 세계와 이미지를 발견할 수 있다. 어떤 개념에도 의존하지 않고 물질로서 사유를 추동하고 감각을 통해 세계를 만나는 힘이 작가가 보여주는 화면으로 작가 자신의 교유의 미
K-컬처 김학영 기자 | K-컬처의 중심에서 한국 문화의 세계화를 이끄는 재단법인 K-문화진흥재단 담화 이존영 총재가 정식으로 출범했다. 대한민국의 풍부한 문화유산과 독창적인 콘텐츠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설립된 이 재단은, 한국 전통 문화와 현대적 콘텐츠의 융합을 통해 국제적인 문화 교류를 활성화하고, 글로벌 문화 무대에서 한국의 위상을 더욱 높일 계획이다. 한국 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선도적 역할 K-문화진흥재단의 핵심 목표는 한국 문화를 전 세계에 알리고 국제적 문화 교류를 촉진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문화권과의 상호 이해를 도모하며, 한국 문화의 독창성과 가치를 세계적으로 확산시키고자 한다. 한국의 전통과 현대적 감각을 결합한 다양한 문화 콘텐츠는 이제 전 세계 관객들을 사로잡을 준비가 되어 있다. 창의적 문화 산업의 글로벌 성장 견인 재단은 한국의 창조적 문화 산업을 육성하는 데에도 앞장설 계획이다. 창의성과 혁신을 바탕으로 한 문화 콘텐츠 개발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한국 문화가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이다. 한국 문화 콘텐츠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세계 무대에서 K-컬처의 영향력을 확대해 나갈 것으
K-컬처 이존영 기자 | "계명대학교 최경주 교수의 기고문" 메타버스는 5G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3차원의 디지털 가상세계가 구축되고 VR(가상현실)과 AR(증강현실)을 통해 이용자의 실시간 몰입형 체험과 교류를 가능하게 한다. 메타버스는 현실과 가상공간을 결합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실현된다. 그 유형을 간단히 분류하자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라이프 로깅(Life logging), 거울 세계(Mirror Worlds), 가상세계 등이다. 특히 가상세계는 현실 세계를 반영해 만들어졌지만, 현실과 다른 시·공간 속에서 아바타가 대신 활동한다. 메타버스가 발달할수록, 현실 세계와 가상세계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된다. 미술관(박물관)이 메타버스를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동시대 미술을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현대미술관과 달리 박물관(그리고 근대미술관)의 자료 보존, 연구물에 기반한 콘텐츠 활용이 현실적으로 가상 공간에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메타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긍정적 관심은 시장 가치에 있다. 마켓 메이커들은 메타버스가 예술, 엔터테인먼트, 소셜 미디어 및 암호 통화의 시점에서 크리에이터, 해설자, 갤러리 및 수집가